Jeon-Jiyoun’s Dancing Colors, Moving Color-Fields
by Young Taek Park (art critic, Professor at Kyonggi University)
Is Jeon’s painting abstract? Abstract art signifies the absence of concrete imagery in the canvas which reminds of the external world. If so, is abstract painting something you don’t know even if you look at it, or something that doesn’t reveal it? However, abstract painting too appeals to our eyes absolutely. It’s a painting that relies on the retina more than anything else. Visualization of the invisibleㅡit offers us something unnamable: something without a name, something which has not been captured in the fishing-net of language or under man’s system of concepts. It may be a search for something possible within a primordial painterly act or the painting’s ontological conditions; it may be a desire to refuse to be captivated by an existing object and to speak through something non-objective.
The history of abstract art covers over a century; that is, when you take Kandinsky’s first abstract work as its origin. Through the history of modernism, the painting reaffirmed the condition of the picture as a plane, confirmed dyes, brushwork, and physical properties which make a picture what it is, and thereby opened the picture’s way in freedom from the object; thereby it evolved its own history. In the end, it reached a situation where the picture was lost in the canvas or where the picture itself was eliminated. Recent times have seen the diverse branches of the abstract astir again. How has abstraction moved in the wake of postmodernism? In actual fact, a picture can be concrete and abstract at the same time; and the border or difference between concrete and abstract may have no significant meaning. Painting itself is a thing and concept, being a concrete existence and a virtual reality at the same time.
Jeon has opted for the soft and resplendent hue of pastel tone. And she has painted a flat and even thickness; it looks proper, straight, firm and smooth. It gives an impression of filling an exact and consistent area. While restraining a free-wheeling brushwork or gesture, she has done plastic surgery to the dye and enhanced it. Accordingly, the dye has become a flesh and body; it comes as a dye but at the same time as some other material that has been made by replacing the surface of the canvas with the dye. Here color is a representation of the artist’s disposition and a color preferred by the artist herself; it’d also be color chosen from the point of view of composing the canvas as a whole. It’d also be color as a substitute of her ego and subjectivity, and a color chosen from the standpoint of conveying some kind of message. Color in itself suffices to be a core element of a picture as with a painting ba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olors. And they take place like the pieces on the go-board. As a piece is placed, another piece is laid down inevitably due to the previous piece; in like manner another color intervenes spontaneously and next to the first color. One color calls for another color, not just because of the artist’s summons, but by the call from among the colors placed on the canvas. In this manner, a color calls to diverse colors in a chain action without ever shouting or yelling. By the same token, it not only calls for specific colors but determines the size of the color as well. The hue thus drifts about and the color-field moves around. Within the plane, color, color-field and lines created by color-field move around dynamically as if dancing, thus creating a bright canvas overflowing with life force and animated atmosphere. One thus experiences extraordinary decorativeness and cheerfulness in the canvas overflowing with some sort of sensuous power.
The artist cuts open the lump of the color-field resolutely and sensitively. To begin with, the canvas gets divided into several colors. Not one particular shape occupies the canvas but the color takes possession of the canvas. The plane of a single color completes a certain part and begins the narrative. Thus, the picture approaches a great bulk of color. And then it again disperses and scatters as several balls of color. First of all, differences of color make the picture and the borders between different colors give birth to colors. Sometimes the lines give the plane some height, producing a protuberance emerges, or they dig into the surface as an intaglio. The line divides the color, spontaneously creates borders, and that borderline pursues the traces of geometric and organic line. Here the line is a wound inflicted inevitably by the difference between color-fields and the border between surfaces. And it’s a shape that determines the configuration of the specific color-field. At the same time, it operates an element that gives the color-field some sense of shape. That sense of shape uplifts every piece of color and color-field as largely symbolic entities. That creates the traces of a concrete painting within an abstract painting, or the atmosphere of a landscape. The application of the dye also brings along some thickness and a sense of texture as it gets overlaid, making the canvas rather flat and tactile. It also serves as an element that makes the canvas greatly expressive, which can be somewhat monotonous otherwise.
Jeon’s pictures comprise color, dye, brushwork, color-field and icon and are filled with the arrangements and multiplications of relationships among them. Instead of reminding of the outside world or indicating something, the ontological conditions constituting the picture and the circumstantiality shown by matters that make the picture possible are perceived. Several contrasting elements such as expansion and contraction among colors, extension and accumulation, contrast and conflict between color-fields and lines that go on in the space sensitively contend one with another. Though concrete shapes are absent, potential morphemes exist as ever. Almond-shaped forms frequently emerge. They remind of a ship, ark, fortress, castle, house, mind’s crystals, jewel, hard and safe shields. Over the vast canvas these shapes appear and disappear continually. Perhaps it’s a symbol which offers the artist much comfort, or an entity that represents the artist’s own sense of being. The icons that hover over the neat and clear color, and the somewhat strict color-field as the artist’s own codeㅡthey are decisive entities that make up Jeon’s own special imagery and epic abstraction toward a symbolic abstract painting. The artist, recruiting these forms which contain the symbols intending to convey her own mind and intimate meaning, intimately draws the abstract painting that harbors epic impulses.
It’s my estimation that Jeon’s pictures constitute attempts to sustain the painting (abstract) while they can’t return to the concrete in a simple manner and yet don’t repeat the yoke of formal abstraction. At the same time, they pursue the possibility of pictures that are beautiful, charming, decorative and lively if only with colors and lines as ever. In concluding, I venture to say that the artist attempts to achieve symbolic and landscape-like abstraction and language-like abstraction by creating diverse distinctions while maintaining color-field abstraction externally. It appears that she is developing her own stories by repeating several symbolic patternsㅡThis, of course, within the structure of the abstract painting.
춤추는 색채, 유동하는 색면
박영택 (경기대학교교수, 미술평론가)
전지연의 그림은 추상인가? 추상이란 외부세계를 연상시키는 구체적 이미지가 화면 안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그렇다면 추상화는 보아도 알 수 없는 것, 보여주지 않는 것일까? 그러나 추상화 역시 우리 눈에 절대적으로 호소한다. 망막에 우선적으로 의존하는 그림이다. 비가시적인 것의 시각화, 그것은 이름 지을 수 없는 것을 안긴다. 무명의 것, 아직 인간의 개념 체계 아래, 언어의 그물 안에 잡히지 않은 것들이다. 어쩌면 원초적인 회화적 행위나 회화의 존재론적 조건 안에서 가능한 것의 모색이기도 하고 이미 존재하는 대상에 사로잡히기를 거부하고 비대상적인 것을 통해 말을 건네고자 하는 욕망일 수도 있다. 그런 추상의 역사도 100여 년의 시간이 흘렀다. 칸딘스키의 최초의 추상을 기원으로 삼는다면 말이다. 모더니즘의 역사를 통해 회화는 평면으로서의 그림의 조건을 새삼 확인하고 그림을 그림이게 하는 물감, 붓질, 물성의 확인 그리고 대상에서 자유로운 그림의 길을 펼쳐냈다. 그림 자체의 역사를 만들어 나갔다. 종국에는 화면 안에서 그림이 실종되거나 그림 자체가 소거되는 형국에 이르게 되었는데 근자에 다시 그 추상의 여러 갈래들이 다시 스멀거린다.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의 추상의 도래는 어떤 것일까? 사실 그림은 구상이면서도 추상이고 따라서 구상과 추상의 경계나 차이라는 것도 큰 의미는 없어 보인다. 회화 자체는 이미 물질이자 관념이고 구체적인 존재이면서 동시에 가상의 것이다.
전지연은 파스텔 톤의 부드럽고 화사한 색상을 선택했다. 그리고 납작하고 일정한 두께를 지니게 해서 칠했다. 단정하고 반듯하면서도 단호하고 매끈하다. 정확하게 일정한 면적을 메우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분방한 붓질이나 제스처를 억압하고 물감을 성형해서 밀어 올렸다. 따라서 물감은 하나의 살, 육체가 되었다. 그것은 물감이면서 동시에 캔버스 표면을 물감으로 치환해 만든 또 다른 물질로 다가온다. 여기서 색은 작가 심성의 재현이자 그 자신이 선호하는 색채일 것이며 또한 전체적인 화면 구성의 차원에서 배려된 색채일 것이다. 다분히 자아나 주관성의 대리물로서의 색채이자 모종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차원에서 고려된 색상일 것이다. 색은 이미 그것 자체로 충분히 그림을 이루는 핵심적인 요소가 된다. 색과 색의 관계성으로 인해 고려된 회화라는 얘기다. 그리고 그것은 마치 바둑판의 돌처럼 이루어진다. 하나의 돌이 놓이면 다른 돌이 그 돌로 인해 불가피하게 놓이듯이 하나의 색이 결정되고 칠해지면 이내 그 색 옆에 다른 색이 자연스레 파고들어 칠해진다. 하나의 색이 또 다른 색을 부른다. 그것은 작가의 호명에 의해서가 아니라 화면에 올려진 색들간의 호출에 의해서이다. 그러니 색은 결코 소리를 지르는 법 없이 여러 색들을 연쇄적으로 부른다. 더불어 특정한 색의 호출뿐만 아니라 그 색의 크기 역시 결정된다. 그렇게 해서 색상들이 흘러 다니고 색면이 유동한다. 평면 안에서 색, 색면과 색면으로 인해 만들어진 선들이 춤을 추듯 활력적으로 유동한다. 생명력이 넘치고 그만큼 활기찬 기운이 느껴지는 밝은 화면이다. 그만큼 장식성과 명랑성이 느껴진다. 모종의 감성적인 힘으로 충만한 화면이다.
작가는 그 색면 덩어리를 단호하고 예민하게 절개한다. 우선적으로 화면은 그렇게 몇 가지 색상으로 분할된다. 어떤 형태가 화면을 점유하는 게 아니라 색이 우선 화면을 차지한다. 단색의 평면이 일정 부분을 마감하면서 이야기를 시작한다. 따라서 그림은 우선적으로 커다란 색채 덩어리로 다가온다. 그리고 다시 몇 개의 색채 덩어리로 분산되고 흩어진다. 색채의 차이가 우선적으로 그림을 만들고 색과 색의 경계가 색을 발생시킨다. 더러 선은 평면에 약간의 높이를 만들며 융기한다. 또는 표면에 음각으로 파고 든다. 선이 색을 구분 지으며 자연스레 경계를 만들고 그 경계선이 기하학적이면서도 유기적인 선의 자취를 몰고 가는 형국이다. 여기서 선은 색면의 차이와 각면의 경계로 인해 불가피하게 생겨난 상처이자 특정 색면을 윤곽 짓는 꼴이기도 하고 동시에 색면에 모종의 형태감을 안겨주는 차원으로도 작동한다. 그 형태감이 각 색채 조각, 색면들을 다분히 상징적 존재로 부양시킨다. 그로 인해 추상화이면서도 어딘지 구상화의 흔적, 혹은 풍경의 분위기가 풍겨난다. 물감의 발림 역시 다소의 두께, 질감을 동반하면서 얹혀지기에 화면은 평면적이면서도 촉각적인 편이다. 그것은 다소 단조로울 수 있는 화면을 다분히 표현적으로 만드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전지연의 그림은 색채, 물감, 붓질, 그리고 색면과 도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것들끼리의 관계 배열과 증식으로 채워져 있다. 외부세계를 연상시키거나 그 무엇을 지시하기보다는 그림을 이루는 존재론적 조건에 대한, 그림을 가능하게 하는 물질들이 보여주는 상황성이 무엇보다도 우선적으로 감지되는 편이다. 또한 공간에서 진행되는 색채간의 팽창과 수축, 확장과 집적, 색면과 선의 대조와 충돌 등 여러 대비적 요소들이 예민하게 길항한다.
구체적인 형상은 부재하지만 잠재적인 형태소는 여전하다. 아몬드형의 꼴은 빈번하게 출현한다. 그것은 배, 방주, 요새, 성채, 혹은 집이나 마음의 결정체, 보석, 단단하고 안전한 방패 등을 연상시킨다. 막막한 화면에 그 형태가 반복해서 출몰한다. 아마도 그것은 작가에게 무척 위안이 되는 상징이거나 자신의 존재감을 표상하는 존재인 듯 하다. 산뜻하고 선명한 색상, 다소 엄격한 색면을 바탕으로 그 위를 부유하는 이 자기 암호로서의 도상은 전지연만의 특별한 이미지이자 서사적인 추상, 상징적인 추상화를 만드는 결정적 존재다. 작가는 자신의 마음과 내밀한 의미를 전달하고자 하는 상징성을 지닌 이 형태를 동원해 서사적인 충동을 간직한 추상화를 내밀하게 기술하고 있다.
전지연의 그림은 간편하게 구상으로 귀환할 수 없고 그렇다고 형식적 추상의 굴레를 반복하지 않으면서도 여전히 회화(추상)를 존속시키려는 시도들에 해당한다는 생각이다. 그러면서도 여전히 색채와 선만으로도 아름답고 매혹적이면서도 장식적인, 생명력이 넘치는 그림에 대한 가능성을 추구하고 있어 보인다. 결론적으로 작가는 외형적으로는 색면 추상이면서도 동시에 그 안에서 여러 차이를 만들어 내면서 상징적이고 풍경적인 추상, 언어적인 추상을 시도하고 있다는 생각이다. 아마도 몇 가지 상징적인 패턴을 반복해서 자신만의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어 보인다.
여전히 추상회화의 틀 안에서 말이다.